본문 바로가기
1. 화학공학/1) 화공 열역학

[열역학 개념의 해설] 증기압

by 민ㅂr 2022. 1. 17.

본 포스팅은 여상도 교수님께서 지으신 '열역학 개념의 해설' 중 제10장 '증기압' 내용 요약 및 개인적인 생각을 덧붙여 작성한 것입니다.

 

10. 증기압

증기압이란, 말 그대로 물질의 증기가 발휘하는 압력을 뜻하는데요. 증기압은 상태에 따라 그 값이 변화하는 물질의 고유 물성 중 하나랍니다. (특히, 순수 물질의 증기압은 온도에 의해서만 변화해요.)

 

물질의 증기압은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요?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진공상태의 실린더에 해당 물질을 넣고 온도에 따라 압력을 측정하면 된답니다. 

 

그럼 증기압을 통해 어떤 것을 알 수 있을까요?

  1. 우선, 증기압을 통해 물질의 휘발도를 알 수 있어요. 증기압이 크다는 것은 그만큼 증기의 압력이 크다는 뜻이므로, 휘발성이 크다는 뜻도 됩니다.  
  2. 또한 증기압을 통해 물질의 상태를 체크할 수도 있어요. 특정 온도에서 물질의 증기압이 주위 압력보다 높으면 그 물질은 기체 상태로 존재하고, 증기압이 주위 압력보다 낮으면 그 물질은 액체상태로 존재한답니다.  
  3. 한편, 증기압은 상변화가 일어나는 경계를 규정하는 척도로도 이용되는되요. 임계점 이상에서는 상변화가 일어나지 않고, 임계 상태에서는 증기압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아요. 
  4. 그리고 증기압을 이용하여 물질의 온도를 역으로 추정할 수도 있어요. (순수물질의 증기압은 온도에 따라서만 변화) 화학공정을 운전하다 보면 온도계로 온도를 측정하기 곤란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이럴 때 증기압을 통해 온도를 추정할 수 있답니다 
  5. 마지막으로 증기압은 물질 사이의 인력 정도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데요. 이를 응용하여 퓨가시티에 대한 개념이 발생하였답니다. (퓨가시티는 23장에서)

그럼, 증기압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