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여상도 교수님께서 지으신 '열역학 개념의 해설' 중 제10장 '증기압' 내용 요약 및 개인적인 생각을 덧붙여 작성한 것입니다.
10. 증기압
증기압이란, 말 그대로 물질의 증기가 발휘하는 압력을 뜻하는데요. 증기압은 상태에 따라 그 값이 변화하는 물질의 고유 물성 중 하나랍니다. (특히, 순수 물질의 증기압은 온도에 의해서만 변화해요.)
물질의 증기압은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요?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진공상태의 실린더에 해당 물질을 넣고 온도에 따라 압력을 측정하면 된답니다.
그럼 증기압을 통해 어떤 것을 알 수 있을까요?
- 우선, 증기압을 통해 물질의 휘발도를 알 수 있어요. 증기압이 크다는 것은 그만큼 증기의 압력이 크다는 뜻이므로, 휘발성이 크다는 뜻도 됩니다.
- 또한 증기압을 통해 물질의 상태를 체크할 수도 있어요. 특정 온도에서 물질의 증기압이 주위 압력보다 높으면 그 물질은 기체 상태로 존재하고, 증기압이 주위 압력보다 낮으면 그 물질은 액체상태로 존재한답니다.
- 한편, 증기압은 상변화가 일어나는 경계를 규정하는 척도로도 이용되는되요. 임계점 이상에서는 상변화가 일어나지 않고, 임계 상태에서는 증기압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아요.
- 그리고 증기압을 이용하여 물질의 온도를 역으로 추정할 수도 있어요. (순수물질의 증기압은 온도에 따라서만 변화) 화학공정을 운전하다 보면 온도계로 온도를 측정하기 곤란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이럴 때 증기압을 통해 온도를 추정할 수 있답니다
- 마지막으로 증기압은 물질 사이의 인력 정도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데요. 이를 응용하여 퓨가시티에 대한 개념이 발생하였답니다. (퓨가시티는 23장에서)
그럼, 증기압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1. 화학공학 > 1) 화공 열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역학 개념의 해설] 임계점 (0) | 2022.01.18 |
---|---|
[열역학 개념의 해설] 잠열 (0) | 2022.01.17 |
[열역학 개념의 해설] 열용량 (0) | 2022.01.17 |
[열역학 개념의 해설] 엔탈피 (0) | 2022.01.16 |
[열역학 개념의 해설] 열역학 제1법칙 (0) | 2022.0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