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역학 개념의 해설] 상률
본 포스팅은 여상도 교수님께서 지으신 '열역학 개념의 해설' 중 제30장 '상률' 내용 요약 및 개인적인 생각을 덧붙여 작성한 것입니다. 30. 상률 물질이 단일상 혹은 다수의 상으로 존재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 상의 수를 변화시키지 않고 독립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변수의 수를 구하는 법칙을 상률(Phase Rule)이라고 하고, 상률의 식은 아래와 같답니다. F = 2- π + N F = 독립변수(자유도), π = 상의 수, N = 성분의 수 먼저, 순수한 물이 기액 상평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의 자유도를 구해볼까요? π(상의 수)는 액체, 기체 2이고, N(성분의 수)는 1 임으로, F(독립변수, 자유도)는 1이 됩니다. 이는 물이 기액 상평형 상태일 때는 하나의 변수만 독립적으로 변할 수 있고, ..
2022. 2. 28.
[열역학 개념의 해설] 안정, 불안정, 준안정
본 포스팅은 여상도 교수님께서 지으신 '열역학 개념의 해설' 중 제28장 '안정, 불안정, 준안정' 내용 요약 및 개인적인 생각을 덧붙여 작성한 것입니다. 28. 안정, 불안정, 준안정 열역학에서는 물질의 상이 변화하는 현상과 그 상의 안전성에 대해서도 관심 있게 다루는데요. 어떤 물질이 기체이든 액체이든 고체이든 하나의 독립된 단일 상으로, 자연 상태에서 변화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존재할 때, 그 상을 안정된(stable) 상태에 있다고 한답니다. 우리 생활 주변에서 시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물, 에탄올, 공기 등은 모두 안정된 상태에 존재하는 물질이랍니다. 상이 불안정(unstable)하다는 것은 상이 안정된 상태에서 존재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하여, 불안정한 상태에 있는 상은 즉시 다른 형태의 상으..
2022. 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