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액상평형2

[열역학 개념의 해설] 상평형 본 포스팅은 여상도 교수님께서 지으신 '열역학 개념의 해설' 중 제27장 '상평형' 내용 요약 및 개인적인 생각을 덧붙여 작성한 것입니다. 27. 상평형 여러 학과에서 열역학 과목을 배우는데, 화학공학에서 배우는 열역학에서는 기체나 액체로 존재하는 물질들의 상평형에 대한 내용을 가장 핵심적으로 다루고 있답니다. 상평형이란, 서로 다른 상이 인접해 있고 그 상들 사이에 물질의 이동이 없는 동적 평형상태를 말하는데요. 대표적인 상평형에는 기-액 평형, 액-액 평형, 고-액 평형 등이 있답니다. 화공 열역학에서 상평형 현상을 연구하는 최종적인 목적은 평형상태에 있는 각 상의 조성을 구하고, 온도와 압력의 변화에 따라 그 조성이 어떻게 변화하는 가를 알아내는 것이랍니다. 특히 여러 가지 형태의 상평형 중 기-액.. 2022. 2. 22.
[열역학 개념의 해설] 퓨개시티 본 포스팅은 여상도 교수님께서 지으신 '열역학 개념의 해설' 중 제23장 '퓨개시티' 내용 요약 및 개인적인 생각을 덧붙여 작성한 것입니다. 23. 퓨개시티 두 개 이상의 상이 인접해 있을 때, 상 사이에서 물질이 이동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이탈성향(Escaping tendency)이라는 개념이 도입되었는데요. 물질은 이탈성향이 큰 상에서 작은 상으로 이동하고, 상평형 상태에서는 이탈성향이 동일하답니다. 기체상과 액체상이 접하고 있는 계에서 이탈 성향을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은, 기액 상평형 상태에서 기체의 압력(증기압)을 측정하는 방식인데요. 액체의 이탈성향이 큰 경우 증기압이 커지고, 액체의 이탈성향이 작으면 증기압이 작아진답니다. 한편, 기액 상평형에서 기체가 이상기체일 경우에는 증기압이 이탈성.. 2022. 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