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상도22 [열역학 개념의 해설] 이상용액 본 포스팅은 여상도 교수님께서 지으신 '열역학 개념의 해설' 중 제26장 '이상용액' 내용 요약 및 개인적인 생각을 덧붙여 작성한 것입니다. 26. 이상용액 이상기체는 기체의 이상적인 모델로 분자의 크기가 없고, 분자 상호 간에 미치는 힘이 존재하지 않는 기체로 정의되는데요. 이와 마찬가지로 이상용액(Ideal solution)은 용액의 이상적인 모델로 분자의 크기가 같고, 분자 상호 간에 미치는 힘이 분자의 종류와 관계 없이 동일한 용액을 뜻한답니다. 여기서 용액이라 함은 여러 성분이 섞여 있는 혼합물이라는 뜻이며, 액체에만 국한되어 사용되지 않는답니다. 즉, 기체의 혼합물도 분자 크기가 모두 같고, 분자 상호간에 미치는 힘이 동일하다면 이상용액의 정의가 적용될 수 있는 것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모.. 2022. 2. 22. [열역학 개념의 해설] 활동도 본 포스팅은 여상도 교수님께서 지으신 '열역학 개념의 해설' 중 제24장 '활동도' 내용 요약 및 개인적인 생각을 덧붙여 작성한 것입니다. 24. 활동도 액체 상과 액체 상이 인접해있는 계의 경우, 압력 차원을 가지는 퓨개시티로 물질의 이탈성향을 표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는데요. 액체 상이 서로 접해 있는 경우에는, 두 상 사이에서 물질의 농도로 이탈성향을 표현할 수 있답니다. 즉, 물질의 농도가 높은 쪽이 이탈성향이 높고, 낮은 곳에서는 이탈성향이 낮은데요. 물질은 이탈성향이 높은(농도가 높은) 곳에서 이탈성향이 낮은(농도가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것이랍니다. 한편, 서로 다른 분자들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 동일한 이상용액의 경우 이탈성향은 물질의 농도와 동일하지만, 실제용액의 경우에는 이탈성향과 물질의.. 2022. 2. 20. [열역학 개념의 해설] 퓨개시티 본 포스팅은 여상도 교수님께서 지으신 '열역학 개념의 해설' 중 제23장 '퓨개시티' 내용 요약 및 개인적인 생각을 덧붙여 작성한 것입니다. 23. 퓨개시티 두 개 이상의 상이 인접해 있을 때, 상 사이에서 물질이 이동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이탈성향(Escaping tendency)이라는 개념이 도입되었는데요. 물질은 이탈성향이 큰 상에서 작은 상으로 이동하고, 상평형 상태에서는 이탈성향이 동일하답니다. 기체상과 액체상이 접하고 있는 계에서 이탈 성향을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은, 기액 상평형 상태에서 기체의 압력(증기압)을 측정하는 방식인데요. 액체의 이탈성향이 큰 경우 증기압이 커지고, 액체의 이탈성향이 작으면 증기압이 작아진답니다. 한편, 기액 상평형에서 기체가 이상기체일 경우에는 증기압이 이탈성.. 2022. 2. 19. [열역학 개념의 해설] 물질의 잠재에너지 본 포스팅은 여상도 교수님께서 지으신 '열역학 개념의 해설' 중 제22장 '물질의 잠재에너지' 내용 요약 및 개인적인 생각을 덧붙여 작성한 것입니다. 22. 물질의 잠재에너지 열린계에서는 물질 출입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계 내부의 에너지가 변화하는데요. 물질의 출입에 따라 에너지 변화를 나타내기 위해 도입된 개념이 물질의 잠재에너지(화학포텐셜, chemical potential)이랍니다. 물질의 잠재에너지 정의는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는데요. 풀어서 설명하면 계의 온도, 압력이 일정하고 다른 물질의 이동이 없을 때, 해당물질의 출입에 따른 깁스에너지의 변화량을 뜻합니다. μ = dG/dm (압력 및 온도 일정, 다른 물질의 이동 없음) 즉, 계 내에서 물질이 갖는 단위질량(혹은 단위 몰) 당 깁스 .. 2022. 2. 17. 이전 1 2 3 4 5 6 다음